한글날을 맞이하여 우리의 일상 언어 중 몇 가지를 살펴보고, 어른들의 언어와 행동의 중요성을 되새겨 본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심심한 사과' 라는 말이 모든 방송에서 빠지지 않고 크게 다룬 내용 중 하나였다.
요즘 어린이들이 ‘심심한 사과’를 재미가 없다. 맛없는 사과 등의 뜻으로 받아들이기도 하고, ‘무료하다‘를 공짜라는 뜻으로 해석하는 학생들도 있었으며, 어른들 또한 어린이들이 쓰는 줄임말을 전혀 못 알아듣는 경우도 있었다는 내용이었다.
또 어는 조사에서는 요즘 학생들의 문해력이 100점 만점에 60~70점 정도로 평가되기도 했다는데, 그러면 성인들은 우리말을 제대로 쓰고 있는지 생각 해 볼 일이다,
우리 한글은 소리글자라고 한다.
따라서 소리 나는 발음을 글자로 표현 못할 것이 거의 없는 아주 훌륭한 글자임에도, ‘심심한 사과’라는 말을 꼭 써야하는지도 의문이다. 차라리 ‘마음으로부터 깊이 사과’ 라고 표현하면 더 정감 있고 받아드리는 쪽에서도 깊이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https://blog.naver.com/oss8282/222897566327
그 뿐인가 요즘 정치권에서 흔히 쓰는 말로 ‘내로남불’은 몇 나라의 말이 섞여져 나온 말이며, 몇 년 전 ‘6.25는 남침’이라고 줄여서 교과서에 쓰기로 했다는데, 먼 훗날 우리의 후손들이 토씨하나(을, 이)를 바꿔 쓰면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데, 알고도 그리 했는지 모르고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확실하게 ‘6.25는 남한을 북한이 침략한 전쟁’이라고 명확하게 해야 할 것이다.
몇 년 전 TV자막에 ‘방문진’이라는 것을 보고 처음에는 사람이름인줄 알았는데, 내용을 살펴보니 ‘방송문예 진흥회’를 줄여 쓴 것으로 확인 되었다. 글자 7자 중에 4자 줄여 쓰면 무엇이 달라지는지 모를 일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줄여서 말하는 것이 정치권이나 언론이나 모든 곳에 만연돼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는 내용이다.
어린이들은 어른들이 가르치는 말에 의하여 배우기도 하지만, 그들이 평상시에 사용하는 언어나 행동을 보고 느끼면서 배운다는 것을 어른들은 확실히 알고, 평소에 사용하는 언어와 행동 가짐을 주의해야 되는 이유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법무부 2030 자문단이 청년정책(안)을 발표하고 있다 (출처 ;법무부) - ’24년 법무부 청년정책 심포지엄 개최 - 법무부 2030 자문단 청년정책(안) 발표 - 소관 부서 사무관, 대학 교수, 국책연구기관 부연구위원 등 토론 참석 법무부(장관 박...